WR 102ea
보이기
다섯쌍둥이 성단의 WR 102ea (동그라미로 표시) | |
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분점 J2000 | |
---|---|
별자리 | 궁수자리 |
적경 | 17h 46m 15.12s[1] |
적위 | −28° 49′ 36.9″[1] |
특성 | |
진화 단계 | 볼프-레이에별 |
스펙트럼 종류 | WN9h[2] |
겉보기등급 (K) | 8.8[3] |
위치천문학 | |
시선속도 (Rv) | 116[4] km/s |
고유운동 (μ) | RA: -0.59[1] mas/yr Dec.: -1.21[1] mas/yr |
거리 | 26,000[2] ly (8,000[2] pc) |
절대등급 (MV) | −8.3[2] |
상세 | |
질량 | 58[5] M☉ |
반지름 | 86[2] R☉ |
광도 | 2.5 × 106[2] L☉ |
유효온도 | 25,100[2] K |
나이 | ~4[5] Myr |
천체 명칭 | |
FMM 241, qF 241, (QPM-241로 오기됨), Q10, MGM 5-10, LHO 71 | |
데이터베이스 자료 | |
SIMBAD | 데이터 |
WR 102ea는 궁수자리의 볼프-레이에별으로 이 별은 WR 102hb 다음으로 밝은 다섯쌍둥이 성단에서 세 번째로 밝은 별이다. 태양의 2,500,000배에 달하는 광도를 지닌 이 별은 알려진 가장 광도가 높은 별 중 하나지만 높은 광도에도 불구하고 먼지의 방해로 인해 적외선 파장대에서만 관찰할 수 있다.
이 별은 높은 광도와 광구 내 수소보다 무거운 원소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강한 항성풍에서 비롯된 방출선 스펙트럼을 갖는 진화된 무거운 별이며 대류 및 회전 혼합으로 인해 별 표면으로 상승한 핵융합 생성물인 이온화된 헬륨 및 질소 선이 스펙트럼을 지배한다. 그러나 이 별은 아직 중심핵 수소 연소 단계에 있으며 스펙트럼에서 수소선도 나타나고 이는 상대적으로 오래되고 가벼우며 어두운 수소가 없는 WN 별과 대조적이다. 상대적으로 진화 초기의 별이지만 WR 102ea는 이미 질량의 절반 이상을 잃은 상태다.[5]
각주
[편집]- ↑ 가 나 다 라 Dong, H.; Wang, Q. D.; Cotera, A.; Stolovy, S.; Morris, M. R.; Mauerhan, J.; Mills, E. A.; Schneider, G.; Calzetti, D.; Lang, C. (2011). “Hubble Space Telescope Paschen α survey of the Galactic Centre: Data reduction and products”. 《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》 417 (1): 114–135. arXiv:1105.1703. Bibcode:2011MNRAS.417..114D. doi:10.1111/j.1365-2966.2011.19013.x. S2CID 11060463.
- ↑ 가 나 다 라 마 바 사 Liermann, A.; Hamann, W.-R.; Oskinova, L. M.; Todt, H.; Butler, K. (2010). “The Quintuplet cluster”. 《Astronomy & Astrophysics》 524: A82. arXiv:1011.5796. Bibcode:2010A&A...524A..82L. doi:10.1051/0004-6361/200912612. S2CID 30091594.
- ↑ Liermann, A.; Hamann, W.-R.; Oskinova, L. M. (2009). “The Quintuplet cluster”. 《Astronomy and Astrophysics》 494 (3): 1137. arXiv:0809.5199. Bibcode:2009A&A...494.1137L. doi:10.1051/0004-6361:200810371. S2CID 260300.
- ↑ Liermann, A.; Hamann, W.-R.; Oskinova, L. M. (2009). “The Quintuplet cluster. I. A K-band spectral catalog of stellar sources”. 《Astronomy and Astrophysics》 494 (3): 1137. arXiv:0809.5199. Bibcode:2009A&A...494.1137L. doi:10.1051/0004-6361:200810371. S2CID 260300.
- ↑ 가 나 다 Liermann, Adriane; Hamann, Wolf-Rainer; Oskinova, Lidia M.; Todt, Helge (2011). “High-mass stars in the Galactic center Quintuplet cluster”. 《Société Royale des Sciences de Liège》 80: 160. Bibcode:2011BSRSL..80..160L.